정부정책info / / 2023. 3. 13. 18:32

청년도약계좌 5000만원 조건 중복 신청기간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조건 중복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조건 중복 신청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새로운 정부가 청년 핵심 공약으로 출시한 예,적금 상품으로 2023년 6월을 출시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대 5000만원의 자금을 마련할수 있으며 그 중 정부에서 최대 월 2만 4000원 지원, 비과세혜택을 받을수 있어 청년층에게는 자산을 형성할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선공약으로 곧 시행되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중복 신청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Contents)


    청년도약계좌 개요

    청년도약계좌 개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중요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5년 동안 가입 (최대 5000만원)
    •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3 ~ 6% 정부기여금
    • 시중은행 이자 (정해진 바 없지만 4% ~ 6% 예상)
    • 이자소득에 대한 전액 비과세 혜택 적용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 ~ 34세
    • 소득기준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중위소득 180% 이하

    이때, 최근 3년 간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로 분류된 대상은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수 없습니다. 이는 은행이자,배당,분배금 으로 연소득 2천만원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가구소득 정리 (중위소득 기준 180%)

    • 1인:3,740,205원
    • 2인6,221,079원
    • 3인7,982,668원
    • 4인9,721,935원
    • 5인11,935,238원
    • 6인13,010,365원

    가구소득은 해당 가구인원에 따른 소득을 나눈것이기 때문에 기준소득에 해당되는지 잘 살펴보시기 바라며 혹여 가구원 중 고소득자로 인해 해당되지 않는다면 세대분리를 통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수 있어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혜택 기여금

    정부 기여금은 최소 2만1천원 ~ 최대 2만4천원이며 납입한도는 70만원 이지만 개인상황에따라 소득기준으로 지급한도액까지 지급하여도 무방합니다. 

    예시로 3600만원에서 ~ 4800만원 이하라면 50만원을 납입하여도 무방합니다.

    비과세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 혜택이기 때문에 납입금,이자소득,정부기여금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 않고 모두 받을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는 6월을 개시로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개개인에게 결과통보를 하여 가입여부를 확인할수 있는데요.

     

    이때 전년도 소득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전전년도 과세기간 소득을 대신 활용하여 심사를 진행하니 가입이 가능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복신청 여부

    청년도약계좌 중복신청은 사업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면 순차적으로 가입이 가능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대상자에 한하여 추가모집을 시행하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원하시는 경우 추가모집 기간때 가입이 가능하오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및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복지목적과 고용지원의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은 동시가입이 허용 되오니 이점도 참고 바랍니다.


    마무리

    청년도약계좌 5000만원 조건 중복 신청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정부에서 발표한 초행 내용만 정리한것이다 보니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뼈대만 알아볼수 있었는데요.  추후 발표되는 내용을 확인하여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를 최신화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