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뜻

반응형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8월 5일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코로나 이후 약 4년만에 다시한번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변동폭이 심할 때 주식시장에서 발동되는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서킷브레이커란

 

서킷브레이커는 전기회로차단기인 누전차단기에서 빗대어진 주식시장 용어 입니다. 전기회로에 과부하 및 누전 단락 등 전기를 공급하는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자동으로 차단기가 내려가 회로를 정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흔히 가정집 두꺼비집을 열어보면 이러한 회로차단기를 볼수 있는데요. 주식시장에서 이슈로 인하여 가격 변동폭이 일정수준 급락하였을 때 시장을 안정 및 진정시키고자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서킷브레이커 입니다.


발동 조건

발동 조건

 

서킷브레이커가 발동이 되려면 종합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됩니다.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되면 20분간 모든 종목의 거래가 중단,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재개 됩니다. 단일가 매매는 조금은 다르지만 시간외 매매라고 생각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1. 1단계 서킷브레이커: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보다 8% 이상 하락 하여 1분간 지속
  2. 2단계 서킷브레이커:1단계 발동 이후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보다 15% 이상 하락 이후 1단계 발동지수 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하여 1분간 지속될 때
  3. 3단계 서킷브레이커:2단계 발동 이후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보다 20% 이상 하락, 2단계 발동지수 대비 1% 이상추가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 이후 1단계,2단계는 20분동안 모든거래,매매가 중단되며 거래재개시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진행됩니다.

3단계가 발동하게 되면 당일 모든 거래가 종료 됩니다.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의 차이점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발동조건과 거래중단 여부에 차이가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가지수가 일정 수준 이상 하락하거나 변동성이 클 때 발생하지만 사이드카의 발동조건은 선물 가격이 급등락 할 때 발동조건이 부합됩니다.

앞서 서킷브레이커에 대해 설명드렸지만 발동 이후 주식시장 전체 거래가 중단되지만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만 일시적으로 중단되며 사이드카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으며 매매거래는 지속적으로 진행됩니다.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의 급변이 현물시장에 과도하게 파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함으로 사이드카는 하루 한차례만 발동,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